본문 바로가기

종자기사

종자의 발달 - 과실의 발달

728x90

 

일반적인 과실이란 성숙한 씨방(자방)을 뜻하고 성숙한 자방은 배주를 가지고 있고 이 배주가 종자로 발달합니다. 

 

자방 자체가 우리가먹는 과실이 되고 과실내에는 씨가 들어있는데요 이것은 배주가 발달해서 종자로 발달된다는 말입니다. 자방-> 과실->발달 해서 자방만  발달하거나 자방 + 자방외에서 발달할 수 있습니다.  , 자방내에 -> 배주 -> 종자 

자방과 과실은 꽃의 발육 부분에 따라 진과와 위과로 분류하는데요 

자방만 커지는것을 진과, 자방+자방외가 커지는것을 위과 라고합니다. 

 

 

진과 암술의 양쪽 벽이 비대된 것이다.
ex) 감, 포도, 복숭아, 감귤류, 매실, 은행, 자두 등등  
위과 꽃받침이 발달해서 과실이 되는 경우이다. 
ex) 사과, 배, 비파, 무화과 등등 

과실 형태적 분류를 나눌때 인과냐 준인과냐 핵과냐 나누고 있는데 인과라는 것은 우리과 과실을 쪼개보았을때!

출처 : https://cafe.naver.com/anfla1/161972

 

빈 공간이 있고 그 공간 안에 씨가 들어있는 형태가 사과 배의 형태들을 의미하는데 빈공간을 자방이 되고 우리가 먹는 과육부분은 꽃받침이 발달해서 먹는 과육부분(화탁)입니다. 

 

인과류는 자방과 화탁이 같이 발달한 형태라 진과는 자방만 발됨 

준인과류
준인과류는 감귤같은것은 꼭지가 이렇게 붙어있는데 이것은 화탁의 형태이고 화탁이 같이 발달하지 않았다??? 그래서 준인과같은것은 진과로 분류됩니다. 그래서 실제로 자방만 발달해서 만들어진 과일입니다. 

 

핵과류 이것도 핵이라 불리는 것이 하나가 큰게 있는것인데 진과에 속합니다. 
씨방의 중과피가 비대된 것으로 과실 속에 단단한 핵이 있습니다. 
ex) 복숭아, 자두, 살구, 매실, 대추 등 
장과류 여러개의 과일이 모여서 하나의 과실을 형성하는 경우 
씨방의 외과피가 비대한다. 포도, 무화과, 나무딸기 등
포도하나하나를 과일로보는게 아니라 포도한송이를 과일로 보는경우 
각과류 씨의 자엽부분을 식용합니다. 

 

2) 종자와 과실의 개념

식물학에서는 배주가 수정하여 자란 것을 종자라 하고, 수정 후 자방과 그 관련기관이 비대한 것을 과실이라 합니다. 

-> 즉 배주에서 시작했으면 종자(쌍자엽), 자방에서 시작했으면 과실 (단자엽) 

식물학상 종자(쌍떡잎 식물)  식물학상 과실 ( 외떡잎식물) 
목화, 아마, 담배, 참깨, 두류, 유채 등등 -과실이 나출된 것 : 밀, 쌀보리, 옥수수, 메밀, 호프(hop), 삼, 차조기, 박하 , 제충국 등등 
-영에 쌓여 있는 것 : 벼 겉보리, 귀리등등 
-내과피, 그내용물을 이용 : 복숭아 자두 앵두 등등
과실이 나출된것의 밀, 쌀보리와 영에 쌓여있는 벼, 곁보리 등등은 헷갈릴수 있으니 잘 구분하시길!

농학상 종자와 식물학상의 종자가 일치하는 것은 무, 배추, 오이, 토마토

농학상의 종자이나 식물학상의 과실이 해당하는 것은 상추 우엉 쑷갓 미나리 당근 셀러리 시금치 근대 비트 등입니다. 

 

종자 및 과실의 구조 관계 
씨방(자방)-> 과실(열매)
배주(밑씨)-> 종자
주피-> 씨껍질
주심-> 내종피(대부분 퇴화)
극핵(2개)+ 정핵 => 배젖(속씨식물) 이것은 배유가 되는데 배유는 두가지 형태로 구분하는데 있는것과 없는것으로 구분하는데 피자식물은 배유를 가지고 있고 나자식물은 배유를 가지고 있지 않다 
난핵 + 정핵 -> 배 
단위 결과

종자가 생기지 않고 과실이 형성되는 경우를 단위결과라고 합니다. 

일단 호박이 대표적 예인데 개화가 되어야하고 수술의 꽃가루가 암술의 머리에 묻어서 종자를 형성하고 과실이 비대하는 이러한 수순을 밟아야 하는데 호박꽃이 아직 개화도 안되었는데 이미 호박을 달고 있는 호박을 볼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들을 단위결과로 봅니다. 

 

 

 

 

 

728x90